정책
-
작성일 : 2021-03-29 17:35:00
수정일 : 2021-03-29 17:42:00
-
경남형뉴딜 워킹그룹 그린뉴딜 분야 3차 회의
에너지 전환과정에서의 사회적 문제 해결에 지방정부 역할 필요성 공감대
경남도는 29일 도청에서 ‘경남형 뉴딜 워킹그룹’의 그린뉴딜 분야 제3차 회의를 개최하고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그린뉴딜 정책과제를 논의했다.
회의는 김경수 도지사와 경남도의 관련 간부 공무원, 그리고 워킹그룹 그린뉴딜 분야 위원 등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정필승 인제대학교 미래에너지공학과 교수의 ‘수소경제 확산 및 대응’에 관한 발제로 시작했다.
정 교수는 ▲수소경제 활성화 주요 이슈 및 추진 전략 ▲수소경제 활성화 목표 및 현황 ▲해외 수소경제 주요 추진현황 ▲청정수소와 액화수소 등 분야별 투자계획 및 지원방안 등을 소개했다.
또한 수소경제 활성화를 추진할 때 예상되는 지역 차원의 쟁점들을 제시하며 ▲지역 수소산업 추진을 위한 경남형 수소 로드맵 구축 ▲지역 수소체계 및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대책 마련 ▲에너지 전환의 영향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지역 내 갈등 해소 방안 모색 등을 주요한 선결과제로 꼽았다.
이어진 토론에서 위원들은 각자 기후위기 대응 및 수소활성화 정책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논의를 이어갔다.
특히 에너지 소비량이 많은 경남 주력산업의 탈탄소 추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약업체들의 위기나 노동자 실업 등에 대한 문제가 주요하게 제기됐다. 이에 친환경에너지 전환과정이 공정하게 이뤄지도록 기업지원은 물론 노동자들의 구직 및 재교육 등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경남도는 논의된 내용들에 대해 검토를 거쳐 향후 그린뉴딜 추진계획에 반영할 방침이다.
김경수 지사는 “수소의 필요성과 효율성을 고려했을 때 경남이 가야 할 방향임은 분명하다”고 밝혔다.
이어, “수소경제권 구축은 부울경 메가시티의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라며 “수소 주기 중 경남에 특화할 수 있는 분야와 부산, 울산과 연계할 수 있는 분야를 협의하는 과정 속에서 정리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주민 수용성을 어떻게 높일 것 인지에 대해서도 민간협의체를 통해 집중적으로 논의를 할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을 당부했다.
한편 그린뉴딜 분야 워킹그룹은 지난해 12월 경남형 뉴딜 추진현황 공유 및 그린뉴딜 정책제언을 위한 1차 회의로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2차 회의로 올해 1월 해상풍력의 사회적 수용성 마련을 위한 갈등해결분야 전문가 초청 강의 및 토론을 개최한 바 있다.